반응형 한민족3 북두칠성은 한민족 역사와 함께 한 칠성七星신앙 북두칠성은 한민족 역사와 함께 한 칠성七星신앙 *백사장 세모래 밭에 칠성단을 모으고 임 생겨 달라고 비나이다. 아무렴 그렇지 그렇구 말구 한 오백년 사자는데 웬 성화요..... 우리네 어머니, 할머니들은 장독대에 정화수를 올리고 가족의 무사안녕을 칠성에 기원하였습니다. 칠성은 북녘 하늘에 있는 국자 모양의 일곱 개 별로 북두칠성을 말합니다. 다른 이름으로 칠성님, 칠성신, 칠성여래七星如來, 칠원성군七元星君등으로 불리웠습니다. 아들이 없는 아낙네들은 칠성단에 자손의 점지를 기원하였습니다. 사람이 죽었을 때는 시신을 넣은 관의 바닥에 칠성판을 깔아 칠성에서 다시 태어나기를 상제님께 염원하였습니다. 칠성은 우리 민족에게 생명의 탄생에서 죽음까지 늘 함께하는 별이었습니다. 특히 아이가 단명短命으로 태어났을 때 .. 2022. 2. 7. 환단고기에서 만나는 한민족 역사문화 코드, 3수와 삼신문화 환단고기에서 만나는 한민족 역사문화 코드, 3수와 삼신문화 오늘의 한민족은 역사와 문화를 잃어버린 민족입니다. 그리하여 몸은 한민족이되 자신의 정신과 문화를 모르는 무국적자로 살고 있습니다. 환단고기는 우리의 잃어버린 역사와 문화를 찾는 역사경전이요 문화경전입니다. 환단고기를 통해 한민족의 원형문화를 추적해보고자 합니다. 삼족오三足烏, 왜 3인가? 왼쪽 그림은 일본의 121대 고메이천황(효명천황)이 즉위식 때 입은 곤룡의입니다. 왼쪽 어깨위에 삼족오가 그려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삼족오라면 당연히 고구려의 삼족오인데 왜 일본천황이 삼족오가 그려진 옷을 입고 있을까요? 일본 국가대표 축구선수의 유니폼에도 삼족오가 박혀 있습니다. 삼족오는 고대 동이족의 태양숭배와 조류숭배(새 토템)신앙이 합치된 대표.. 2019. 1. 27. tv N 도깨비 속 한민족의 헤어스타일 상투문화 tv N 도깨비 속 한민족의 헤어스타일 상투문화 한민족의 전통적인 헤어스타일은 무엇일까요? 바로 상투입니다. 드라마 도깨비에서도 상투를 튼 모습이 나오는데요 우리 저승자사 전생 고려왕께서도 상투를 하고 있죠. 바로 머리를 틀어 올리는 '상투' 문화가 있습니다.. 상투는 다른 말로 상두上斗라고 합니다. 우리 조상님들이 상투를 틀 때는 앞으로 4번, 뒤로 3번을 감아서 상투를 올리곤 했는데 이것은 북두칠성의 기운을 내려 받는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상투는 머리꼭대기로 틀어 올려서 세웠는데 이는 하늘로부터 내려오는 북두칠성의 기운을 내려 받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처음 아신 분 많으실거에요. 상투에 그런의미가? ㅋ 상투는 하늘과 땅을 연결해주는 메신져였던 '솟대'와 상통합니다. 동이족의 문화를 밝혀주는 홍산.. 2017. 2.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