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은 우리 민족의 오랜 인사법이자 선가의 수행법이기도 하다. 현대에 와서 이러한 절이 예의를 갖추거나 수행을 하는 것 외에, 몸과 마음의 건강을 지키는 새로운 건강법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예와 종교를 넘어 일상의 건강법으로 자리 잡은 절. 나를 낮추는 행위인 절에서 절로 우러나오는 예와 건강을 찾아본다.
천하장사도 쓰러뜨리는 절
씨름에서 모래판에 넘어지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쓰던 씨름 선수도 천하장사가 되는 순간, 거구의 몸을 모래판에 기꺼이 던져 무릎을 꿇고 사방을 향해 넙죽넙죽 절을 한다. 천하장사의 절을 받은 관객들은 아낌없는 박수를 보낸다. 또한 절에 인색했던 특정 종교인들도 새해 첫날만큼은 기쁜 마음으로 절을 받아들이는데, 바로 떡국과 함께 빠질 수 없는 새해 풍경인 세배다. 세배에는 새로운 출발에 대한 다짐과 격려, 감사의 마음이 실려 있다.
절은 사람을 귀하게 여기고 하늘을 우러렀던 우리 선조의 정신이 예절로 표현된 것이다. 그러나 현대에는 절을 수행 과정의 하나로 삼는 종교가 있는 한편 절 행위 자체를 거부하는 종교도 있어 절에 담긴 본래의 의미가 종교라는 편견에 가려지는 경우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나라만큼 절을 많이 하는 나라도 없다. 언뜻 생각하면 불교를 국교로 삼은 나라가 절을 더 많이 할 것 같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그들은 절을 종교 의식의 일부로 받아들이지만 우리는 절이 생활 문화 속에 깊이 스며들어 있어 일상적으로 받아들인다.
예의바른 나라에 절 바람이 불다
《동이열전東夷列傳》에서는 우리나라를 ‘단군이라는 훌륭한 사람이 태어나 아홉 개의 부족이 그를 받들어 임금으로 모셨다. … 한 백성이 부모에게 극진히 효도하더니 부모가 돌아가시면 3년을 슬퍼했다. 이들은 한민족의 아들로 풍속이 순후해서 길을 가는 이들이 서로 양보하고, 음식을 먹는 사람들이 먹을 것을 미루니 이 나라야말로 동쪽에 있는 예의바른 군자의 나라가 아니겠는가’라고 묘사했다. 단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우리나라의 예禮는 산 사람에게는 생활 규범이고, 죽은 사람에게는 유대의 끈이며, 우주의 섭리를 다스리는 하늘을 공경하는 마음이었다.
그런 예 중에서도 절은 엎드린 채 머리를 숙여 상대방에게 공경의 마음을 보이는 겸손한 동작으로 산 사람, 죽은 사람, 하늘 모두에게 나타낼 수 있는 예절의 기본이다. 하지만 현대에는 가족의 규모가 작아지고, 서구 문화가 깊이 들어오면서 절의 의미가 크게 퇴색했다. 그런데 요즘 이 절이 가장 한국적인 운동이자 건강법으로 거듭나고 있다.
절이 새로운 운동법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각종 스트레스로 인해 심인성 질환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에게 절이 몸을 바로 세우는 운동인 동시에 마음을 바로잡아주는 수련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운동은 현대인의 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과제다.
이제는 단순히 살을 빼고 힘든 몸을 진정시키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운동의 목적이 차츰 마음을 안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옮겨가고 있다. 모든 병은 마음에서 나온다고 했던가. 아무리 원기왕성한 사람이라도 스트레스와 감정을 다스리는 마음의 힘이 약해지면 건강에 문제가 생긴다. 자신을 낮추었다가 바로 세우는 절 동작에는 몸을 통해 마음을 다스리는 원리가 담겨 있다.
<1> |
<2> |
<3> |
<4> |
<5> |
<6> |
절로 찾아오는 몸과 마음의 건강
우리 몸은 배는 따뜻하고 머리는 시원한 상태인 수승화강水升火降이 되어야 건강하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얼굴과 머리에 열이 나는데, 현대인의 근심거리인 탈모 역시 머리의 열로 인해 생기는 증세다. 손발이 차면 혈액순환이 순조롭지 못하다는 것인데, 이는 빈혈, 뇌졸중 등 여러 질병을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절을 하고 난 사람의 체열을 측정해보면, 하체와 손바닥, 발바닥의 온도가 올라가고 상체는 전반적으로 온도가 내려간다.
바닥에 닿을 정도로 고개를 숙이는 동작을 반복하면 위로 들뜬 기운이 아래로 내려간다. 또한 절은 마음을 차분하게 하고, 머릿속을 명료한 상태로 만들어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힘을 키워준다.
절하기 전후에 뇌에 나타난 변화를 뇌 영상 촬영 장비를 통해 살펴본 결과, 절을 하기 전과 비교해 절을 하고 난 이후에 이성적인 행동을 관장하는 전전두엽이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집중력 또한 크게 향상되었는데, 다른 운동을 했을 때보다 6%나 더 향상되었다. 이는 긴장과 감정을 조절하는 뇌 영역의 활동에 영향을 미쳐 마음을 안정시키고 행동을 변화시키는 명상과 그 효과가 유사하다.
절은 몸의 좌우를 대칭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틀어진 몸의 좌우 균형을 잡는 데도 효과가 있다. 한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중·고생의 80%는 척추가 휘었다고 한다. 척추가 10도 이상 기울어진 상태를 척추측만증이라고 하는데 이를 방치하면 퇴행성 디스크로 진행할 수 있다.
척추나 골반 관련 질환은 몸의 좌우 균형이 맞지 않은 것에서 비롯된다. 잘못된 생활 습관, 자세, 운동 부족 등의 이유로 우리 몸은 생각보다 쉽게 틀어진다. 절을 해보면 몸에서 틀어진 부위를 알 수 있다. 절할 때 몸의 균형을 의식하면서 천천히 정확한 동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누군가를 이기고 성공해야 하는 시대에 다른 대상에게 고개를 숙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몸을 낮춰 자만을 경계하고, 몸의 균형을 통해 의식의 균형을 살피는 절은 현대인에게 더없이 유용해 보인다. 더군다나 방석 하나 깔 공간만 있으면 되니 이 얼마나 효율적인 운동인가.
글·박영선 pysun@brainmedia.co.kr" target=_blank>pysun@brainmedia.co.kr
사진·김명순 | 모델·김보희
증산도 절법 사배와 심고에 대하여...
* 치성 때에는 배례(拜禮)하되 하늘을 받들고 땅을 어루만지는 반천무지법(攀天撫地法)으로 행하라. 이는 하늘과 땅과 사람이 합덕하는 이치니라. (道典 9:67)
* 상제님께서 말씀하시기를 “그러면 내게 사배(四拜)하고 다시는 그러지 않기를 심고(心告)하라.” 하시니라. (道典 9:161)
사배란 글자 그대로 네 번 절한다는 의미이며, 심고心告란 마음 심자, 고할 고자로서 상제님께 마음으로 기도드린다는 뜻입니다.
즉 네 번 절한 뒤에 다섯 번째는 반배로 절하고 상제님께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기도를 드리는 기도 예법을 말합니다. 이 때의 절법을 반천무지라 하는데, 반천무지란 받들 반, 하늘 천, 어루만질 무, 땅 지 자로서 하늘을 받들고 땅을 어루만지는 형상을 취하여 천지의 주재자이신 상제님을 모시고 절하며 기도드린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반천과 무지는 천지의 한량없이 깊은 은혜를 입고 사는 인간이 하늘과 땅의 은혜에 보답한다는 정신을 담고 있는 것입니다.
반천무지의 절법은 먼저 두 팔을 서서히 옆으로 원을 그리며 들어올려 하늘을 받드는 마음으로 손을 어깨 위에 올려 놓습니다. 그리고 두팔을 천천히 옆으로 내린 다음, 두 손을 들어 올려 합장하면서 동시에 머리를 숙여 모아진 엄지손가락 끝을 인당(양미간)에 댑니다.
합장한 손을 아래로 내려 풀면서 상체를 숙여 무릎을 꿇고 바닥에 엎드립니다. 이때 땅을 어루만지듯 두 손을 모아 엄지손가락 끝을 인당에 대고 엎드려 절합니다. 이것은 나를 낳아준 하늘(상제님과 하늘의 조화신)을 모시고 나를 길러준 땅에 감사함을 나타내는 예법입니다.
이 반천무지로 절하는 예법의 원형은 본래 단군성조 이전부터 우리 민족에 전해 내려오는 것으로서 천제를 지낼 때 삼신 상제님께 절하는 고유한 예법이었습니다. 단군성조 때의 기록을 보면 엄지손가락을 교차하고 오른손을 왼손 위에 포개며 삼륙대례를 행하였다고 하였습니다. 당시에 천제를 지낼 때 시행한 절 모습도 일종의 반천무지였던 것입니다.
다만 당시에는 네 번 절하는 것이 아니라 열 번을 하였습니다. 단군성조께서 백성들에게 직접 모범을 보이기 위해 천상의 상제님께 열 번 절을 올렸다는 기록이 아직도 남아 있습니다.
그런데 상제님께서는 이를 우주의 4상수*에 맞추어 네 번의 절만을 하고, 다섯 번째는 반배에 이어 부복심고하게 하셨습니다.
사배심고시 맨 처음에 두 손을 합장하고 상제님을 향해 고개를 숙이는 읍揖을 하는데
읍이란 모은다는 뜻입니다. 즉 마음을 모으고 두 손을 마주 잡아 하늘을 사모하는 것을 말합니다. 또 다섯 번째에 반배로 상제님께 기도를 드릴 때 무릎을 꿇는 행위를 하게 되는데, 순종한다는 뜻과 기운을 순하게 하고 무릎을 모아 땅에 감사하는 정신을 담고 있습니다.
* 사상수(四象數) : 우주의 현상(시공)세계를 창조 구성하는 기본수. 즉 동서남북(춘하추동), 오행의 수화금목(水火金木) 상수의 1·2·3·4 등 우주의 4대 요소를 말한다.
'태을주 주문수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을주 수행체험] 천상에서 태을주 읽는 소리가 … (0) | 2017.08.22 |
---|---|
증산도 배례- 500배, 100일 정성 수행체험 (0) | 2017.07.31 |
바람돌이도 부러워하는 신기한 조화 주문 태을주 (0) | 2017.07.20 |
태을주 수행으로 인체의 균형과 난치병을 회복한다! (0) | 2017.07.11 |
태을주 수행_가장 심각한 병은 마음의 병. 수행으로 변화되는 마음 (0) | 2017.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