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이 라마 티베트 불교 티벳 달라이라마 환생 역사
[글 포스팅 순서]
1. 티베트에서 만난 창세 신화
2. 원숭이 후예 티베트 민족, 역사 시대로 가다
3. 위대한 군주 송짼감뽀松贊干布
4. 토번 왕국의 왕비가 된 당나라 문성공주
5. 몽골(원元)의 통치와 티베트 불교
6. 티베트 불교 역사상 가장 위대한 지도자 종카빠
7. 달라이 라마의 탄생
8. 5대 달라이 라마 롭상 갸초
9. 티베트·중국 전쟁
10. 제14대 달라이 라마 전세영동을 찾다
11. 히말라야에 떠도는 망자의 노래
12. 티벳 여행 티베트 장족 불교 티벳 포탈라궁 고원 수도 라싸 망명정부 중국
티베트에서 만난 창세 신화
티베트 고원은 수백만 년 전에 형성된 비교적 젊은 지형으로 알려졌다.
티베트 민족은 1만 년 이상을 이곳에서 살아왔다. 티베트 고원은 티베트 역사와 문화의 발원지다.
티베트의 동부, 남부, 북부 지역에서 발굴된 고고학적 발굴에 따르면 최소 1만 년 전, 후기 구석기 시대에 이미 이 지역에 인류의 활동이 있었다. 신석기 시대 유적은 비교적 많은 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참도의 카룹, 라싸의 곡공曲貢 유적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유적들은 아주 오랜 옛날부터 티베트 고원에 인류가 생활하며 살았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티베트 민족은 다른 지방에서 이주한 민족이 아니라 바로 티베트 고원에서 형성된 민족이다.
티베트인들 사이에 전해지는 창세 신화에 따르면 티베트 민족은 원숭이와 나찰녀羅刹女의 후예다.
현지 역사학자들의 고증에 따르면 나찰녀는 마녀나 요괴가 아니라 바위 동굴에 거주했던 유인원類人猿이었다.
그 유인원과 원숭이가 교합하여 자식을 낳아 인간이 되었다는 내용은 다윈의 진화론과도 상통하는 이야기라는 것이다.
원숭이 후예 티베트 민족, 역사 시대로 가다
기원전 3세기 전후, 티베트 고원에는 세 개의 정치 세력이 형성되었다.
산난 지역의 얄릉雅隆 계곡에 자리 잡은 얄릉 왕국, 중부 지역의 숨파 여인국, 그리고 서부 지역의 장중 왕국이 그것이다. 얄릉 왕국의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기원전 4세기, 얄릉 계곡에서 티베트 민족의 고유 신앙인 뵌뽀本敎를 신앙하는 12명의 유목민이 방목을 하고 있었다.
어느 날 이들 앞에 한 소년이 나타났다.
유목민과 소년은 말이 통하지 않았다.
소년은 손가락으로 하늘을 가리켰다.
유목민은 그가 하늘에서 내려온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이들은 소년을 어깨에 태워 부락으로 데려왔다.
마을 사람들은 이 소년을 우두머리로 삼고 네치짼뽀聶赤贊普라고 불렀다.
‘목덜미에 앉아 있던 왕’이라는 뜻이다. 네치짼뽀는 티베트 최초의 왕이다.
네치짼뽀 왕에서 시작하는 이 왕조를 토번 왕조吐蕃王朝라고 한다.
토번(투푀·토번)은 티베트Tibet土伯特의 어원이 되었다.
뵌뽀 경전은 네치짼뽀를 색계色界의 13대 광명천자光明天子가 속세에 내려온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일종의 신화로 묘사되고 있으나 네치짼뽀는 실존 인물이다.
티베트 역사 기록에 따르면 네치짼뽀는 티베트 동부의 보미 지역 출신이다.
그는 눈과 피부가 녹색을 띠었고 손발에 물갈퀴 같은 것이 달렸고 힘이 장사였다.
고향 사람들은 그를 악귀의 화신이라고 의심했다.
고향에서 쫓겨난 그는 얄릉으로 와서 토번 최초의 왕이 된 것이다.
네치짼뽀는 얄릉 부족을 통일하고 윰부라캉궁雍布拉康을 세웠다.
티베트인이 세운 최초의 궁전이다.
이곳에서 토번 왕조가 시작되어 32대까지 이어졌다.
제1대 왕 니치짼뽀로부터 제7대 왕 십치짼뽀塞赤贊普까지 토번 왕국의 임금은 뵌뽀 무당의 지배를 받았다.
토번 왕국이 일종의 신교神敎국가였다는 얘기다.
이 시기의 왕들이 남긴 업적에 대한 기록은 없지만, 한 가지 특이한 기록이 전한다.
일곱 왕은 모두 임종 직전에 하늘로 올라갔으므로 무덤조차 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위대한 군주 송짼감뽀松贊干布
7세기 초, 송짼감뽀松贊干布(617∼650)는 다른 십여 개 지역을 병합하고 티베트 고원의 통일 정권인 토번 왕조를 건설했다. 이때가 티베트 역사상 가장 강성한 시기다.
이 시기를 이끌었던 송짼감뽀야말로 티베트 민족의 영웅이다.
송짼감뽀는 관세음보살의 화신이자 조손삼대법왕祖孫三代法王의 으뜸으로 칭송되고 있다.
송짼감뽀는 푸갈 세계世系의 제32대 짼뽀贊普(군주)로 라싸 동쪽 마이조쿵가르에서 태어났다.
당시 정국은 혼란스러웠다. 부왕인 남리송짼은 위기를 맞았다.
안으로는 신하들의 반란이 끊이지 않았고 밖으로는 닥포, 공포, 장중, 숨파 등지에서 침공을 해 왔다.
마침내 남리송짼은 신하들에 의해 독살당하고 말았다. 629년 13살이던 왕자 송짼감뽀가 왕위에 올랐다.
영민했던 어린 왕은 정치적 수완을 한껏 발휘했다.
그는 암살자를 보내 부왕을 독살한 숨파 지역 냥망보쩨娘芒布杰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군대를 동원해 망보쩨 마을을 병합시켰다. 숨파 지역뿐만 아니라 티베트 전 지역을 하나씩 정복해 나갔다.
633년 송짼감뽀는 수도를 얄룽장뽀강 북쪽에 위치한 라싸로 옮겼다.
중앙의 마르포리 산 위에 아름다운 궁궐도 세웠다.
이때부터 라싸는 티베트 전 지역을 통치하는 중심지가 되었다.
송짼감뽀는 이어서 정치 개혁을 단행하였다. 주요 호족들을 중앙 관리로 임명하고 등급을 정했다.
부왕 남리뢴짼까지만 해도 임금과 부족장들의 회맹 관계에 불과하였던 것이 비로소 왕과 신하 관계로 바뀐 것이다.
이어서 군사 제도를 개편했다. 전국을 다섯 구역으로 나누고 한 구역에 한 군단을 설치했다.
전 인구의 군사화였다. 당시 한 구역의 인구가 4천여 호였다. 왕의 친위대는 1천 호였다.
토번 왕국의 백성이라면 평민이 농민이거나 유목민이면서 동시에 군인이었다.
법률도 제정했다. 지금까지의 왕들은 뵌뽀를 통해 통치했다.
법률 제정에 의해 토번은 왕이 직접 통치하게 된 것이다.
토번 왕국의 왕비가 된 당나라 문성공주
634년, 송짼감뽀는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2년 뒤에 다시 사신을 보내 당 태종唐太宗 이세민李世民에게 청혼했다.
당나라 공주를 아내로 요구한 것이다.
이세민은 토번이 당나라의 속국인 토욕혼土谷渾을 위협한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638년 송짼감뽀는 군사를 일으켜서 북부 티베트 지역인 토욕혼을 정벌했다.
이어 여강麗江 등지를 점령했다.
같은 해 8월 송짼감뽀는 친히 20만 군사를 이끌고 당시 토번과 당나라의 국경 지역이던 송주松州(현재의 중국 쓰촨 성 송번松蕃)를 점령했다. 송짼감뽀의 군사력에 놀란 이세민은 마침내 구혼을 받아들였다.
당시 송짼감뽀의 왕비는 넷이 있었다.
첫째 왕비는 토번 출신이었다.
둘째와 셋째는 병합을 계획하고 있던 이웃의 작은 왕국 출신이었다.
송짼감뽀가 일종의 혼인 정책을 썼다는 얘기다.
넷째 왕비는 네팔 출신 브리쿠티bhrikuti(赤尊)였다. 브리쿠티는 ‘공주’라는 뜻이다.
브리쿠티 왕비는 불교 신자였다. 그녀는 토번으로 올 때 석가 8세 등신불을 가져왔다.
그녀는 송짼감뽀에게 석가 불상을 모실 사원을 지어 달라고 요청했다.
송짼감뽀는 작은 사원을 지어 주었다.
지금도 티베트 불교의 성지로 남아있는 조캉 사원大昭寺이 바로 그 사원이다.
641년 당나라 문성공주文成公主가 송짼감뽀의 왕비가 되기 위해 토번 왕국에 왔다.
그녀는 토번에 오면서 천문역법·음양참위·의학 등의 서적들을 가져왔고 각종 기술자들도 데려왔다.
그녀는 독실한 불교 신자였다. 그녀는 석가 12세 불상을 가져왔다.
왕비가 된 그녀는 남편 송짼감뽀에게 석가 불상을 모실 사원을 지어 달라고 요청했다. 송짼감뽀는 그녀의 청을 들어주었다. 이 사원이 조캉 사원 북쪽에 건립된 라모체 사원小昭寺이다.
이 사원 역시 오늘날에도 티베트 불교의 성지 중 하나다.
오늘날 불교를 빼놓고 티베트를 얘기할 수는 없다.
송짼감뽀가 두 왕비의 요청에 의해 세운 조캉 사원과 라모체 사원은 티베트 고원에서 불교가 정착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710년 조캉 사원과 라모체 사원에 봉안되어 있는 석가 불상은 서로 자리를 바꾸었다).
송짼감뽀는 650년 3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아들이 이미 세상을 떠난 뒤였다. 권불십년權不十年이라고 했던가.
티베트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군주로 자리매김되는 송짼감뽀의 뒤는 손자인 망송망짼芒松芒贊(재위 650∼676)이 이었다.
당시 그의 나이가 한 살이었다.
재상 까르통짼이 대신 국정을 관장했다.
이로부터 약 50년 동안 토번 왕조는 통짼 가문에 의해 지배되었다.
토번 왕국은 9세기 이후 마지막 왕인 랑데르마가 암살당하면서 실질적으로 붕괴됐다.
몽골(원元)의 통치와 티베트 불교
13세기, 몽골 제국의 등장은 티베트에도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당시 티베트는 거의 멸망 직전에 놓여 있었다.
토착 종교 뵌뽀와 외래 종교인 불교 간의 대립, 불교 내의 파벌 간 다툼과 왕위 계승을 둘러싼 내분 등으로 이미 수습이 불가능할 정도로 분열되었다.
중앙아시아 지역은 이미 다른 민족에게 빼앗겼다.
1240년 몽골 제국은 장군 도르타를 파견하여 티베트를 침공하였다.
몽골 군사는 파죽지세로 밀려들어 왔다.
티베트 각 지역의 호족들은 앞다투어 무릎을 꿇었다.
당시 몽골은 항복한 뒤에 공물을 바치는 세력들에게는 해당 지역의 지배권을 인정해 주는 회유책을 썼다.
물론 저항하는 세력들에게는 강경 진압책을 구사했다.
티베트를 제압한 뒤 몽골은 종교(불교) 지도자를 대리 통치인으로 선택했다.
당시 티베트에는 많은 불교 종파들이 횡행했다.
몽골 치하에서 각 종파의 지도자들은 자의든 타의든 종교적 지배권을 잡기 위한 경쟁 관계를 유지했다.
달라이 라마 5세 롭상 갸초Lobsang Gyatso(1617~1682) 때 티베트는 다시 사캬Sakya파 티베트 불교로 통일된다.
몽골은 불교 지도자를 통해 티베트를 지배했지만, 반대로 티베트 종교에 의해 몽골의 정신계를 지배당하고 있었다.
샤머니즘, 경교, 이슬람 등 온갖 종교가 각축을 벌이던 몽골에 티베트 불교는 깊이 뿌리를 내렸다.
원元나라 최후의 황제인 순제順帝(1320∼1370) 시기에 티베트 정권은 사캬파가 주도하고 있었다.
강력한 몽골 제국(원元)을 등에 업고 티베트를 지배해 온 사캬파는 이미 부패해 있었다.
이때 팍모주빠의 라뵌喇本(한 지방의 정치와 종교 권력을 모두 갖고 있는 호족) 창춥개짼絳曲堅贊(1302∼1364)이 샤카 정권에 대한 타도의 깃발을 올렸다. 1354년 창춥개짼이 이끄는 팍모주빠 군대가 마침내 사캬 사원에 입성하기에 이르렀다. 사캬 정권이 무너졌다. 각 지역의 만호장이나 개뽀結布(토번 왕국 멸망 뒤 군벌들이 각 지방에서 기반을 잡고 스스로 ‘개뽀’라고 칭했다)들도 창춥개짼을 티베트 최고 지도자로 인정했다.
원나라 순제는 창춥개짼 정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원나라 정부에서는 창춥개짼을 ‘시뚜司徒(정치·종교 권력을 모두 지배하는 수장)’에 임명했다. 이때부터 130년 동안 티베트의 국가 원수의 호칭은 ‘시뚜’였다. 역사는 당시의 티베트 정부를 ‘팍모주빠 정권’이라고 기록하였다. 창춥개짼은 위대한 개혁군주였다. 티베트 역사에서 그는 송짼감뽀에 비교되는 영웅으로 칭송받는다.
티베트 불교 역사상 가장 위대한 지도자 종카빠
명明나라와 티베트 관계도 몽골 제국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1408년 명 태종明太宗(1360∼1424)은 티베트 불교 지도자 종카빠宗喀巴(1357∼1419)를 북경으로 초청했다.
종카빠는 티베트 불교 역사상 가장 위대한 학승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그는 1357년 북부 티베트 종카宗喀(오늘날 칭하이靑海 성 서녕西寧)에서 출생했다.
그의 아버지는 몽골 칸이 임명한 지방관 다루가치達魯花赤였다.
출가한 뒤에 종카빠는 각 분야의 뛰어난 스승들을 찾아다니며 대·소승의 불교 교리를 터득해 나갔다.
21세가 된 1377년, 그는 이미 뛰어난 학자로서 다른 학인들을 가르치는 위치에 있었다.
그는 8권의 저술을 남겼는데 모두 다 기념비적인 업적이 되었다.
특히 『람림 -깨달음에 이르는 길菩提道次諸廣論』은 티베트 불교 연구자에게는 첫 번째 손에 꼽히는 필독서이다.
종카빠는 원래 티베트 불교의 한 종파인 까담 출신이었다.
그러나 그는 까귀 스님으로부터 비구계를 받았다.
티베트 불교사에 따르면 인도 불교의 마지막 법맥은 사캬에게 전해졌고 사캬의 법맥은 까귀에게 전해졌다.
종카빠가 까귀 계사戒師에게 계를 받음으로써 그 법맥은 까담에게 전해졌다고 할 수 있다.
명 태종의 초청을 받았으나 종카빠는 거절했다.
티베트 국민들은 그의 결정에 감동을 받았다.
다른 불교 종파의 지도자들도 그를 존경했다.
1409년 종카빠는 라싸 동쪽 족卓이라는 산에 까땐 사원囑丹寺을 세웠다.
1416년 종카빠의 제자 참양자시빼땐降央扎西貝典이 라싸 서부 지역에 째뿡 사원哲蛙寺을 세웠다.
3년 뒤에는 종카빠의 제자 사캬예세釋迦益西가 라싸 북부 지역에 세라 사원色拉寺를 새웠다.
이 사원들은 현존하는 티베트 3대 사원이 되었다.
이후 티베트 국민들은 종카빠의 제자들을 ‘겔룩格魯’이라고 불렀다.
계율에 밝다는 뜻이다. 오늘날 티베트 불교는 90%가 겔룩파다.
까담 종파의 시조는 아티샤였지만, 겔룩 종파의 시조는 종카빠다.
1406년 명나라 영락제永樂帝는 팍모주빠 5대 시뚜 드락파 갈짼(1374∼1432)을 국가의 종교 수령인 천화왕闡化王으로 책봉했다. 명나라는 260년 동안 중국 역사에 존속했다.
티베트의 팍두르 정권도 명나라와 운명을 같이했다.
달라이 라마의 탄생
청淸나라의 황제는 티베트 정치·종교의 지도자 달라이 라마Dalai Lama達賴喇嘛를 황제의 스승으로 대우하였다.
오늘날 티베트 불교의 상징적 인물로 인식되고 있는 ‘달라이 라마’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환생제도還生制度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티베트에서 처음 이 제도를 만든 사람은 제2대 까마빠(까담의 스승)인 까마박시噶瑪拔希(1204∼1283)였다.
‘튀쿠孜古’라고 하는 티베트어는 스스로 환생해서 중생을 구제하는 라마(스승)를 가리킨다.
중국어로는 활불活佛로 번역한다. 살아있는 부처라는 뜻이다.
영어권에서는 달라이라마 뜻을 ‘리빙 붓다Living Buddha’라고 번역한다.
『티베트 비밀역사』에 따르면 중국어 번역은 처음부터 잘못됐다.
튀쿠는 몸이 변했다는 뜻으로 부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티베트 불교는 살아있는 부처를 인정하지 않는다. 달라이 라마는 부처가 아니라 그냥 사람이다.
튀쿠의 정확한 번역은 ‘화신nirmāa-kāya化身’, 일종의 변화신變化身이라 할 수 있다.
‘환생’은 중국어로 ‘전세轉世’를 가리킨다.
방금 환생한 아기는 영특한 동자이므로 ‘영동靈童’이라고 한다.
따라서 환생한 아이를 ‘전세영동轉世靈童’이라고 한다.
티베트 불교의 특징 중 하나인 전세영동에 대한 이야기는 각종 영화와 소설 등에서 묘사되어 알려지고 있다.
13세기 종카파의 제자인 겔룩파 제2대 까마박시가 창시한 전세 제도는 티베트 불교의 각 교파들에 의해 널리 채택되었다. 이후 겔룩파 최고의 활불 중 한 명인 달라이 라마는 티베트 불교 최고의 활불 중 한 명으로 관세음보살의 화신으로 인식되었다. 제1대 달라이 라마는 겐둔 드룹(1391∼1474), 2대 겐둔 갸초(1475∼1542), 3대 쇠남 갸초(1543∼1588)이다.
‘달라이 라마’라는 용어가 생긴 것은 이 쇠남 갸초 때부터였다.
라싸 부근에서 태어난 쇠남 갸초는 3세에 겐둔 가문의 전세활불轉世活佛로 인정받았다.
1571년 투메트 몽골의 알탄 칸(1507∼1582)이 그의 명성을 듣고 초청했다.
1578년 5월, 청하이호 부근 찹차恰卜怡에서 회동했다.
쇠남 갸초는 노란 모자에 법복法服을 입었고 알탄 칸은 몽골식 흰색 정장 차림이었다.
정상회담은 성공적이었다. 회담장인 몽골식 천막에서 나온 알탄 칸이 「찹차회담성명서」를 낭독했다.
그는 “차하르Chakhar는 하늘에서 내려왔다.
세력이 강성하여 중국과 티베트를 정복했으며, 사캬와 법주法主·시주施主 관계를 수립한 뒤 불교를 넓게 전파했다”고 그동안의 몽골과 티베트 관계를 회상한 뒤에, “백의몽골인白衣蒙古人은 다음과 같은 법을 지켜야 한다”고 선언했다.
내용은 티베트 불교를 신앙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알탄 칸은 “오늘부터 우리는 티베트가 하는 그대로 한다”라고 천명했다.
이 내용을 보아도 몽골과 티베트는 단순한 정치적 식민 관계가 아니라 서로 믿고 의지하는 협력 관계를 유지했다.
세계 정복 민족으로서 정쟁과 살인, 약탈, 겁탈을 자랑스럽게 생각했던 몽골인들은 티베트 불교의 영향으로 점차 개과천선해 나갔다.
행사의 말미에 두 정상은 존호尊號를 주고받았다.
알탄 칸이 쇠남 갸초에게 준 존호는 ‘와치르다라 달라이 라마瓦齊爾達喇達賴喇嘛’였다.
‘와치르다라’는 금강살타金剛薩埵Vajrasttva, 신성하다는 뜻이다.
그리고 ‘달라이Dalai’는 갸초Gyatso(지혜를 가진 영혼)와 함께 ‘큰 바다(大海)’를 뜻하고, ‘라마Lama’는 티베트어로 ‘영적인 스승’이라는 뜻이다. 즉 ‘달라이 라마’는 ‘바다와 같은 지혜를 가진 스승’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오늘날 세계인들이 티베트 불교 하면 상징적으로 떠올리는 ‘달라이 라마’는 이렇게 해서 탄생하였다.
이때 이후로 ‘달라이 라마’라는 호칭은 그 법통을 잇는 모든 화신들에게 사용되고 있다.
쇠남 가쵸는 알탄 칸에게 ‘차크라와르 세첸 칸咱克喇瓦爾第徹辰汗’이라는 칭호를 주었다.
‘차크라와르’는 전륜성왕轉輪聖王, ‘세첸’은 현명하다는 뜻이다.
티베트 불교와 정복 국가 몽골은 동전의 앞뒷면과 같이 불가분의 관계였다.
제3대 달라이 라마 쇠남 갸초는 이후 10년 동안 몽골 포교 활동에 진력했다.
5대 달라이 라마 롭상 갸초
1588년 3월 3대 달라이 라마가 몽골에서 입적했다.
그를 이어 4대 달라이 라마가 된 인물은 용텐 갸초(1589∼1616)였다.
그는 알탄 칸의 증손자다. 1603년 제4대 달라이 라마는 라싸에 도착했다.
전세영동으로 인정되어 달라이 라마가 되었으므로 계를 받아야 한다.
당시 겔룩파에는 ‘달라이 라마’에게 계를 줄 수 있는 고승이 없었다.
어쩔 수 없이 남의 손을 빌려야 했다.
그가 바로 티베트에서 또 하나의 정신적 지도자였던 빤쩬 라마Panchen Lama였다.
제4대 달라이 라마가 라싸에 도착했을 때 마침 빤쩬 라마는 그를 맞이하기 위해 이곳에 와 있었다.
빤쩬 라마는 4대 달라이 라마의 머리를 깎고 계를 주었다.
이때부터 4백 년 동안 달라이 라마가 아직 어리면 빤쩬 라마가 스승이 되어 주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1616년 28세의 4대 달라이 라마는 드레풍 사원에서 돌연 세상을 떠났다.
뒤를 이어 5대 달라이 라마가 된 인물은 롭상 갸초였다. 『1만 년의 이야기 티베트』에 따르면 토번의 모든 공적을 송짼감뽀에게 돌릴 수 있듯이 오늘날 겔룩파 정교 제도 수립의 공은 모두 ‘위대한 5대 달라이 라마’ 롭상 갸초에게 돌릴 수 있다.
그는 겔룩파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그는 취임 초기부터 내우외환에 시달려야 했다.
1642년 제5대 달라이 라마가 티베트 국왕에 취임했다. 당시 26세였다.
제4대 달라이 라마까지는 정치인이라기보다는 한 종파의 지도자였다.
국왕으로 등극한 5대 달라이 라마는 세속과 종교 권력을 움켜쥔 절대 군주가 되었다.
1649년 5대 달라이 라마는 7세기 토번 왕조 시대에 건설되었다가 왕조 몰락과 함께 황폐해진 포탈라Potala궁(布達拉宮)으로 수도를 옮기고 30년에 걸쳐 궁전을 재건하였다.
중원을 평정한 청나라 정부가 5대 달라이 라마를 초청한 것은 이 무렵이었다.
만주인은 불교에 우호적이었다. 청나라 정부는 ‘티베트가 법주, 몽골이 시주’ 관계를 이미 알고 있었다.
나아가 몽골인들이 달라이 라마를 신으로 추앙하였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중원을 통일한 청나라 정부는 달라이 라마를 만나고 싶어 했다.
티베트 역시 중원의 판도를 읽고 있었다.
5대 달라이 라마는 청나라 정부의 초청을 받아들였다.
제4대 빤쩬 라마 역시 같은 시기에 초청장을 받았으나 병을 핑계로 거절했다.
1652년 12월 북경에서 티베트 국왕 달라이 라마가 청나라 황제를 만났다.
당시 청나라 황제는 15살의 제3대 순치제였다. 청나라 정부는 몽골 시대 이상으로 티베트 불교를 대우했다.
달라이 라마는 두 달 동안 북경에 머물렀다.
그가 황궁을 방문할 때는 스승으로서 황제의 옆에 앉았다.
당시 중국 문화권의 국가 중에서는 황제와 같은 높이의 의자에 앉을 수 있었던 유일한 인물이 달라이 라마였다.
이후 티베트와 청은 과거 원나라 시기와 같이 ‘법주法主와 시주施主’ 관계를 유지했다.
티베트·중국 전쟁
1912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하였다.
당시 달라이 라마는 13세 툽텐 갸초였다.
변화의 시기를 맞았다고 판단한 툽텐 갸초는 즉시 행동으로 나섰다.
수도 라싸에 잔존한 중국군을 몰아내고 독립 국가 건설에 나섰다.
같은 해 음력 10월, 라싸에 주둔하고 있던 중국군 1천 명은 무기를 버리고 항복했다.
이듬해(1913) 1월 중국군과 중국 교민들은 모두 라싸를 떠났다.
달라이 라마 13세가 라싸로 귀환한 것은 이 무렵이었다, 귀국 즉시 달라이 라마는 “만주족의 나라와 세속적, 영적인 관계가 끝났다. 티베트는 명실상부 독립국임을 밝힌다.”라고 선언했다.
중국 정부는 달라이 라마의 독립 선언을 인정하지 않았다.
곧이어 전쟁이 일어났다. 제1차 티베트·중국 전쟁이다.
이 전쟁은 중국의 승리로 끝났다.
1918년 제2차 티베트·중국 전쟁이 일어났다.
티베트군은 중국군이 주둔하고 있는 참도를 포위 공격하여 3개월 만에 점령했다.
티베트군은 기세를 몰아 금사강金沙江을 건너 중국 쓰촨 성으로 진격했다.
양국은 1918년 12월 영국의 중재로 휴전 협정을 체결했다.
이후 금사강을 사이에 두고 양군 간에 무력 충돌이 잦았다.
1933년 제13대 달라이 라마가 갑자기 입적했다.
이듬해 제3차 티베트·중국 전쟁이 일어났다.
1939년 장개석 국민당 정부는 티베트 정부와 종전 협정을 체결했고 금사강을 국경선으로 확정했다.
제14대 달라이 라마 전세영동을 찾다
1935년, 제13대 달라이 라마의 전세영동轉世靈童, 즉 제14대 달라이 라마를 찾는 비밀순방단이 활동을 개시하였다.
그해 가을 비밀순방단이 도착한 곳은 북부 티베트 서녕 아래 탁최達澤라는 마을이었다.
20가구 남짓 사는 작은 마을이다.
그들이 찾은 곳은 탁최 마을의 최종체링曲炯才仁·쇠남초索南措(또는 데끼쩨링德吉才仁) 부부의 집이다.
비밀순방단은 부부의 넷째 아들 라모된줍拉莫頓珠을 제14대 달라이 라마로 확정했다.
바로 이 아이가 현재 전 세계인이 ‘달라이 라마’로 부르고 있는 인물이다.
법명은 땐진 갸초丹增嘉措.
1940년 2월 22일, 제14대 달라이 라마가 라싸의 포탈라 궁에서 정식으로 등극했다.
중일전쟁 와중임에도 불구하고 중화민국 정부는 달라이 라마 즉위식에 사절단을 파견했다.
즉위식이 끝난 뒤에도 중국 사절단은 철수하지 않았다.
중국 정부는 1948년 티베트 정부가 강제로 몰아내기 전까지 이들을 불러들이지 않았다.
티베트가 중국의 영토라는 것을 강압적으로 알리려는 의도였다.
1949년 10월 1일 중원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이 선포됐다.
당시 청해에 있던 10대 빤쩬 라마 오이키 칼쩬은 중국 정부의 수립을 축하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그러나 중국은 티베트를 향한 발톱을 숨기지 않았다.
1950년, 한반도에서 6·25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다섯 달 뒤, 중국인민군 제18군(총사령관 장국화張國華, 정치위원 담관삼譚冠三)은 티베트와의 국경 금사강을 넘었다.
며칠 뒤 중국 정부는 참도에서 티베트군 5천7백 명을 전멸시켰다고 발표했다.
이듬해(1950) 5월, 중남해中南海에서 중국과 티베트 대표단은 17조협약十七條協約이라 불리는 「중앙인민정부와 티베트지방정부의 티베트평화해방협약中央人民政府和 西藏地方政府關於和平解放西藏辨法的協議」을 체결했다.
현 중국 공산당 정부와 티베트와의 관계를 규정하는 내용이었다.
그해 9월 9월 중국인민군 3천 명이 라싸에서 성대한 개선식을 거행하였다. 티베트에 겔룩 시대가 끝나고 중공 시대에 들어선 것이다.
달라이 라마, 히말라야를 넘다
티베트는 신앙의, 종교의, 불교의 나라다.
공산당 정권이 수립된 중국과 티베트가 과거 역사에서 보여 주었던 그런 관계일 수는 없었다. 1954년 달라이 라마와 빤쩬 라마가 중국의 수도 베이징에 나타났다.
중국 정부의 초청을 받은 것이다.
중국의 최고 실력자 마오쩌둥毛澤東과 저우언라이周恩來는 이들을 성대하게 맞이했다. 『티베트 상처 입은 문명』은 당시 청년 달라이 라마가 종교에 대해 안심할 만한 이야기를 늘어놓는 마오쩌둥에게 인간적 매력마저 느끼게 되었다고 기술했다.
달라이 라마의 기쁨은 불과 몇 시간도 가지 않았다.
마지막 회견에서 마오쩌둥은 종교는 독毒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듬해(1955) 귀국길에서 달라이 라마는 세상이 달라졌음을 실감하게 된다.
이미 조국 티베트는 없고 중국 공산당 치하의 현실만이 있을 뿐이었다.
티베트에는 이미 공산주의 개혁이 진행되고 있었다.
신성한 사원은 비어 갔다.
1965년 티베트 자치구가 탄생했다.
자치구 최고지도자는 달라이 라마였으나 이미 이름뿐인 자리였다.
한때는 중원 대륙을 호령하였던 티베트인들이다.
그들은 쉽게 지배당하고만 있지 않았다.
1955년 공산주의 개혁의 강요에 지친 암도와 캄의 티베트인들은 봉기를 일으켰다.
승려들조차 무기를 들었다. 곳곳에서 게릴라전이 일어났다.
1956년 베이징은 캄에 15만 명의 군사를 파견했다.
티베트 저항군은 수없이 죽어 갔다.
티베트인들도 항거의 깃발을 꺾지 않았다.
중부 티베트에서 전면적인 봉기가 일어났다.
1958년 상황은 어느 때보다도 긴박해졌다.
중국은 “티베트를 반동(달라이 라마와 그 추종 세력)으로부터 해방시키겠다”고 엄포를 놓기 시작했다.
아니, 엄포가 아니라 결행이었다.
1958년 3월 16일과 17일 사이, 사전에 정보를 입수한 달라이 라마는 측근과 캄빠 전사들의 호위를 받으며 한밤중을 이용해 몸을 피했다. 그가 도착한 곳은 히말라야 너머 인도였다.
네루 인도 수상은 중국을 견제할 목적으로 달라이 라마 일행을 정치적 망명자로서 보호해 주었다.
달라이 라마가 라싸를 탈출한 지 3일 뒤인 20일부터 22일까지 티베트의 수도 라싸는 불바다가 되었다.
많은 티베트인들이 죽었다. 당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죽었는지는 확인하기가 어렵다.
『티베트 상처 입은 문명』에 따르면 2천 명에서 1만 명에 이른다고 썼다.
4천 명이 체포되었다.
달라이 라마의 망명 이후 많은 티베트인이 정치적 동기나 탄압을 피해 인도로 망명했다.
히말라야에 떠도는 망자의 노래
1959년부터 1960년까지 적어도 8만 명 이상의 티베트인이 달라이 라마를 따라 인도로 혹은 네팔로 떠났다.
당장에 갈 곳이 없는 티베트인들은 유엔 난민기구와 인도 정부에서 세운 난민수용소에서 지내야 했다.
티베트인들은 갑작스럽게 바뀐 인도의 풍토와 기후에 적응하기가 쉽지 않았다.
많은 티베트인들이 결핵과 이질, 풍토병 등 질병으로 죽어갔다.
달라이 라마는 동포들이 겪는 참상을 외면할 수 없었다.
그는 기자 회견을 자청하여 강압에 의해 체결된 「17개조 협의안」은 무효임을 선언했다.
유엔에서도 중국의 티베트 정책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상정했다.
인도 정부는 달라이 라마에게 다람살라 북쪽 맥그로드 간즈를 제공해 주었다.
1960년 북인도 히마찰프라데시 주州 다람살라에서 티베트 망명 정부亡命政府가 수립되었다.
1966년 중국의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은 티베트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자의든 타의든 티베트인들도 섞여 있었던 홍위병紅衛兵은 소위 ‘구체제’의 유적들을 거침없이 파괴했다.
홍위병에게 ‘반동분자와 미신’의 표적이 된 것은 각종 사원을 비롯하여 성곽, 서책, 조각상, 그림, 탑 등이었다.
6천여 곳에 달했던 티베트의 사원과 사찰들은 1976년 이후에는 자취도 없이 사라졌다.
오늘날까지 파괴되지 않고 남아 있는 유물·유적들은 뜻있는 티베트인들이 목숨을 걸고 감추어 두었던 유물과 곳간 등으로 위장해 숨겼던 사찰, 사원들이다.
1975년부터 중국 정부는 티베트 중부에 중국 한족 이주 정책을 시행하였다.
중국 측의 발표에 따르면 10만여 명의 한족이 이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1978년 덩샤오핑鄧小平의 개방정책은 티베트에도 변화의 바람을 몰고 왔다.
티베트에 대한 특별경제조치가 취해졌다.
티베트인에게도 어느 한도 안에서 자율결정권이 주어졌다.
많은 죄수들이 풀려났고 티베트어 교육이 시작되었다.
1982년 중국 헌법 제35조에 의해 국가 질서를 해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신앙의 자유가 허락되었으며, 티베트에 대한 외국인 출입이 허가되었다.
1989년 달라이 라마는 국제 분쟁의 평화적 해결과 인권 및 세계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온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다. 그는 수상 당시 행한 연설을 통해 티베트의 국가적, 문화적 동질성을 파괴하려는 중국의 억압 정책들을 지적하고 이에 맞서는 티베트의 투쟁은 정당하며 폭력은 더 큰 폭력과 고통을 가져오므로 비폭력 독립 운동을 지속해 나갈 것임을 주창했다.
베이징 올림픽이 열리기 직전인 2008년 3월, 라싸에서는 티베트인들의 대규모 항쟁이 있었다.
1959년 시작된 티베트 독립 운동(티베트 봉기) 49주년을 기념하는 의미로 티베트 승려 600여 명이 중국 정부에 대한 항의 시위를 일으켰고, 이것이 확대되어 티베트 독립 운동 시위대가 중국 경찰과 충돌하면서 유혈 사태로 번졌다.
이 항쟁은 잠시 잠잠했던 티베트 독립 운동에 불을 붙였다.
중국 정부는 군대를 동원해 티베트인들의 대규모 봉기에 대한 유혈 진압에 나섰다.
국제 여론이 들끓었고 유럽을 중심으로 올림픽을 보이콧하겠다는 움직임이 거세게 일어났다.
하지만 그런 압박이나 국제 여론에 고개를 숙일 중국이 아니었다.
개방정책 이후 중국은 세계를 주도하는 초강대국으로 몸집을 부풀린 상태다.
오늘날 티베트의 독립 가능성에 대해서는 찬반으로 엇갈린다. 평가하는 이에 따라서 달라이 라마 14세가 주창하는 비폭력 독립 운동에 대한 의문도 없지 않다.
그러나 티베트인들의 독립에 대한 열망 또한 쉽게 잠재울 수 있는 것은 아닐 터이다.
티베트 고원을 향해 귀를 열어 준 이들은 듣고 있다.
히말라야에 떠도는 망자의 노랫소리를.
티벳 여행 티베트 장족 불교 티벳 포탈라궁 고원 수도 라싸 망명정부 중국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솔로 20기 현숙 직업 인스타 촬영지 나이 구미 촬영장소 펜션 아모레퍼시픽 약사 (1) | 2024.04.26 |
---|---|
티벳 여행 티베트 장족 불교 티벳 포탈라궁 고원 수도 라싸 망명정부 중국 (2) | 2023.03.11 |
김광규 제주도 우도 여행 땅콩 아이스크림 수제 버거 흑돼지 햄버거 유채꽃밭 나혼자산다(안녕 육지사람) (0) | 2023.03.03 |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여행 아이들과 실내 가볼만한 곳 주차요금 빗살무늬토기 비파형 동검 청동거울 용도 (0) | 2022.08.02 |
경주 드라이브 코스 바람의 언덕 풍력발전소 데이트 사진찍기 좋은 곳 (0) | 2022.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