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월급 시급 계산 통상시급 계산법 급여 계산방법

by 충격대예언 2023. 2. 12.

월급 시급 계산 통상시급 계산법 급여 계산방법

[글 포스팅 순서]

1. 월급 시급 계산법

2.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지급기준 계산기 주휴수당 포함 최저시급(아르바이트, 알바 적용기준)
3. 통상임금 계산방법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 산정 계산법 퇴직금 성과급 가족수당 상여급
4. 포괄임금제 연차수당 퇴직금 통상임금 계산

 

 

월급 시급 계산법

대부분의 근로자들은 '월급(급여)'을 받습니다.
따라서 시급은 이 월급을 가지고 계산해야만 알 수 있습니다.

시급은 월 통산임금을 '월의 통상임금 산정 기준시간 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월의 통상임금 산정 기준시간 수'라는 표현이 잘 와닿지 않으나, '월 기본유급시간'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기본유급시간은 ①소정근로시간에 ②유급으로 처리되는 시간을 합해 계산합니다.

①소정근로시간은 법정근로시간(일 8시간, 주 40시간) 이내여야 하기 때문에 하루에 9시간을 일하기로 하거나 주 45시간을 일하기로 하는 등 연장근로를 처음부터 약정한 경우라도 소정근로시간은 일 8시간, 주 40시간이 됩니다.
하루에 7시간을 일하기로 했다면 소정근로시간은 그대로 7시간입니다.

②유급으로 처리되는 시간은 '일을 하지 않아도 돈을 주는 시간'(유급휴일, 유급휴가)을 말합니다.
법정휴일은 주휴일은 유급으로 주어야 하는데, 일 소정근로시간이 8시간이라면 8시간이 유급입니다.

'월 기본유급시간'은 우선 '1주'를 단위로 한 기본유급 시간을 계산한 후 월 단위로 환산하면 됩니다.
1주 소정근로시간이 40시간이고 그 외에 일하지 않아도 유급으로 주는 시간이 주휴일 8시간이라면, 1주간 '기본유급시간'은 ①소정근로시간 40시간에 ②유급으로 처리되는 시간 8시간(유급주휴시간)을 더해 총 48시간입니다.

다음은 산수 문제입니다.
1주 기본유급시간이 48시간에 1년간 평균 주 수(52주)를 곱하고 이를 12개월로 나눈 값이 '월 평균' 기본 유급시간이 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지급기준 계산기 주휴수당 포함 최저시급(아르바이트, 알바 적용기준)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지급기준 계산기 주휴수당 포함 최저시급(아르바이트, 알바 적용기준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지급기준 계산기 주휴수당 포함 최저시급 [글 포스팅 순서] 1. 주휴일의 적용 2. 유급 주휴일 부여 3. 주휴수당 지급기준 4. 주휴수당 계산법 및 계산기 5. 주휴수당 간편

choonggyuk.tistory.com

통상임금 계산방법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 산정 계산법 퇴직금 성과급 가족수당 상여급

 

 

통상임금 계산방법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 산정 계산법 퇴직금 성과급 가족수당 상여급

통상임금 계산방법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 산정 계산법 퇴직금 성과급 가족수당 등 [글 포스팅 순서] 1. 평균임금이란? 2. 평균임금 계산방법 3. 평균임금에 포함되는 임금 4. 평균임금 계산

choonggyuk.tistory.com

포괄임금제 연차수당 퇴직금 통상임금 계산

 

 

포괄임금제 연차수당 퇴직금 통상임금 계산

포괄임금제 연차수당 퇴직금 통상임금 계산 [글 포스팅 순서] 1. 포괄임금제도란? 2. 포괄임금제가 인정되는 경우 3. 포괄임금제가 합의되었는지 판단 4. 포괄임금제가 무효가 되는 경우 5. 연차수

choonggyuk.tistory.com

 

 

반응형

댓글